한 판 메이헤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 판 메이헤런은 1889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난 화가로, 미술 평론가들의 비판에 반발하여 위작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는 17세기 네덜란드 거장들의 작품을 모방한 위작을 만들어 미술계에 유통시켰으며, 특히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스타일의 '엠마오의 만찬'을 제작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나치 점령기 동안 위작을 판매한 혐의로 체포되었고, 재판 과정에서 위작 제작을 자백했다. 재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1947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위작은 과학적 조사를 통해 진위가 밝혀졌으며, 현재까지도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벤터르 출신 - 바스 도스트
바스 도스트는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로, 에레디비시 득점왕과 포르투갈 리그 득점왕을 수상하고 VfL 볼프스부르크와 클럽 브뤼헤 KV에서 리그 우승을 경험한 스트라이커이며 현재 에레디비시의 NEC 네이메헌 소속이다. - 데벤터르 출신 - 베르트 판 마르베이크
베르트 판 마르베이크는 네덜란드의 축구 감독이자 전 선수로, 선수 시절 네덜란드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 페예노르트를 UEFA컵 우승으로 이끌고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2010년 FIFA 월드컵 준우승을 달성했다. - 델프트 공과대학교 동문 - 오라녜나사우 공자 요한 프리소
오라녜나사우 공자 요한 프리소는 베아트릭스 여왕의 차남으로 태어나 왕자였으나, 의회 승인 없는 결혼으로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델프트 공대 졸업 후 골드만삭스에서 근무하다 스키 사고로 사망한 네덜란드 왕족이다. - 델프트 공과대학교 동문 -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는 수학적 영감을 받은 작품으로 유명한 네덜란드의 판화가로, 평면 분할, 비정상적인 원근법,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개념을 시각적으로 탐구하며 독특한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
한 판 메이헤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 판 메이헤런 |
본명 | 헨리쿠스 안토니우스 판 메이헤런 |
로마자 표기 | Henricus Antonius van Meegeren |
출생 | 1889년 10월 10일 |
출생지 | 데벤터르, 네덜란드 |
사망 | 1947년 12월 30일 |
사망지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직업 | 화가, 미술품 위조범 |
가족 | |
배우자 | |
활동 정보 | |
활동 기간 | 1913년-1945년 |
분야 | 회화 (미술품 위조) |
영향 받은 인물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
기타 정보 | |
교육 | 델프트 공과대학교 건축학부 |
![]() |
2. 초기 생애
한 판 메이헤런은 1889년 10월 10일 네덜란드 데벤터에서 다섯 자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2] 아버지 헨드리쿠스 요하네스 판 메이헤런은 전문학교 교사였고, 어머니는 아우구스타 루이자 헨리에타 캠프스였다.[3][4] 아버지는 엄격한 가톨릭 신자로, 자녀들을 엄하게 교육했으며, 메이헤런에게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를 반복해서 쓰게 하기도 했다.[6][7]
1914년, 판 메이헤런은 가족과 함께 스헤베닝겐으로 이사했고, 헤이그 왕립 미술 아카데미를 졸업하여[4] 교직을 얻었다. 그는 드로잉 및 미술사 교수의 조교로 임명되었다. 1915년 3월, 그의 딸 폴린(나중에 이네즈로 불림)이 태어났다.[4] 그는 한 달에 75 굴덴이라는 적은 봉급을 보충하기 위해 크리스마스 카드, 정물화, 풍경화, 초상화를 그렸다.[14]
판 메이헤런은 미술 평론가들의 혹평에 대한 반발심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위작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는 1923년에 이미 '웃는 기사' 위작 사건에 연루되어 미술계에서 신뢰를 잃은 상태였다.[14]
판 메이헤런은 1932년 아내와 함께 프랑스 남부 로크브륀-카프-마르탱으로 이주하여 "프리마베라"라는 가구가 비치된 저택을 임대하고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스타일의 위작 제작에 필요한 기술을 연구했다.[19][20] 그는 17세기 캔버스를 구입하고, 청금석, 백연, 인디고, 주사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고대 공식대로 물감을 혼합했다.[19][20] 또한 페르메이르가 사용한 것과 유사한 수염 족제비 털로 만든 붓을 직접 제작했다.[19][20]
1938년부터 1945년까지 한 판 메이헤런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위작 여섯 점과 프란스 할스, 피터르 더 호흐의 위작을 만들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점령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메이헤런이 만들어내는 가짜 그림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나치 점령기에도 미술품 거래는 계속되었다. 1942년에 그린 판 메이헤런의 위작은 160만 휠던(당시 역사상 가장 비싼 그림 가격)에 팔렸다.[9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연합군은 오스트리아의 암염갱에서 헤르만 괴링의 수집품을 포함한 나치가 약탈한 예술 작품들을 발견했다. 이 중에는 예술 전문가들도 처음 보는 페르메이르의 그림이 있었다. 조사 결과, 이 작품은 암스테르담에서 나이트클럽을 운영하는 네덜란드인 한 판 메이헤런에게서 나온 것이었다. 판 메이헤런은 1945년 5월 나치 협력 혐의로 체포되었다. 네덜란드의 국보급 미술품을 나치에 팔아넘긴 혐의로 반역죄로 기소되어 사형에 처해질 수도 있는 위기 상황이었다.[40] 며칠 동안의 심문 끝에, 그는 페르메이르의 그림이 자신이 만든 위작이라고 실토했다.
1947년 8월 29일, 58세의 한 판 메이헤런은 위작 및 사기 혐의로 암스테르담 지방 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건강이 좋지 않았던 그는 사람들의 관심을 즐겼으며, 위조범으로 유죄 판결을 받기를 기대했다.[40]
판 메이헤런은 1947년 11월 26일, 항소 기간 마지막 날에 심근 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되었다.[49] 12월 29일, 두 번째 심장마비를 겪고 1947년 12월 30일 5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0] 그의 데스마스크가 제작되어 국립미술관에 소장되었다.[50][51] 1948년, 그의 유골함은 디펜베인 마을의 공동 묘지에 묻혔다.[52]
일부 전문가들은 한 판 메이헤런이 나치 협력 혐의를 벗기 위해 진품을 위작이라고 주장했다고 믿었다. 미술 전문가 장 데쿤은 1951년 저서에서 《엠마오의 만찬》과 《최후의 만찬 II》가 페르메이르의 진품이라고 주장하며 재감정을 요구했다. 그는 메이헤런이 이 그림들을 바탕으로 위작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55][56]
1947년 8월 29일에 열린 재판에서, 판 메이헤런은 자신이 위작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국제 전문가 위원회를 통해 그의 주장을 검증했다. 위원회는 메이헤런의 아틀리에에서 발견된 재료와 위작에서 20세기에 발명된 코발트블루와 페놀 수지 경화제 (베이클라이트)가 검출되어 위작임을 확인했다.[65] 또한, 그림의 갈라진 틈(크라클뢰르)에 인디아 잉크(먹물)이 인위적으로 침투되었고, 표층과 심층부의 크라클뢰르가 일치하지 않는 점도 위작의 증거로 제시되었다.
한 판 메이헤런의 알려진 위작 목록은 다음과 같다.[72][73][74]
메이헤런은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였으나, 아버지는 이를 반대하고 교사가 되기를 강요했다. 그러나 어머니는 남편 몰래 메이헤런에게 그림 도구를 사주며 지원했다.
12세에 공립 고등학교에 입학한 메이헤런은 화가 바르투스 코르텔링을 만났다. 코르텔링은 메이헤런의 재능을 알아보고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에 대한 지식을 전수하며 그림을 가르쳤다. 코르텔링은 인상주의 등 근대 회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했으며, 이러한 관점은 메이헤런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1907년, 메이헤런은 아버지의 강요로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건축학을 공부하게 되었지만,[3] 그림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았다. 델프트에서 건축학을 공부하면서도 미술 수업을 들었고, 로테르담과 헤이그의 미술관을 다니며 거장들의 작품을 연구했다. 예비 시험은 쉽게 통과했지만, 건축가가 되기를 원하지 않아 최종 시험은 치르지 않았다.[4]
메이헤런은 대학교 재학 중 자신이 속한 조정 클럽의 보트 하우스를 설계하기도 했다. 이 건물은 현재까지 남아있다.[4]
1912년 4월 18일, 메이헤런은 동료 미술 학생인 안나 데 보흐트와 결혼했다.[8] 안나는 인도네시아 혼혈로, 메이헤런은 그녀의 부모에게 결혼 승낙을 받기 위해 가톨릭으로 개종해야 했다. 같은 해 11월, 아들 자크 앙리 에밀 판 메이헤런이 태어났다.
1913년, 메이헤런은 건축 공부를 포기하고 헤이그의 미술 학교에서 그림 공부에 전념했다. 같은 해, 로테르담의 성 로렌스 교회 내부를 그린 작품으로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6]
3. 화가로서의 경력
판 메이헤런의 첫 번째 전시회는 1917년 4월부터 5월까지 헤이그의 쿤스트잘 픽투라에서 열렸다.[10] 이 전시회는 성공을 거두어 전시된 유화와 수채화는 모두 팔렸고, 방문한 미술 평론가들로부터 "매우 다재다능한 예술가"라고 극찬을 받았다. 생활은 안정되어 헤이그의 큰 집으로 이사하고, 근처에 아틀리에를 빌려 중산층을 상대로 개인 레슨도 시작했다. 1919년 12월, 그는 작가와 화가들의 모임인 하흐세 쿤스트크링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지만, 회장직은 거절당했다.[11]
1921년에는 율리아나 공주의 노루를 그린 ''헤르트제''(''새끼 사슴'' 또는 ''사슴'')[12] 그림을 완성했는데, 이 그림은 네덜란드에서 인기를 얻었다. 그는 코트다쥐르에서 영국 및 미국 사교계 인사들로부터 초상화 의뢰를 받아 명성을 얻었다.[12]
메이헤런은 1917년 개인전에서 미술 평론가 카렐 데 브루와 만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그의 부인이자 배우였던 요한나 테레지아 우렐만스 (예명: 조 반 발라르펜)과 불륜 관계가 된다. 이 사실은 1922년에 알려졌고, 메이헤런은 플라토닉한 관계라고 변명했지만 브루의 분노를 샀고, 아내 안나에게도 버림받았다. 1922년 5월에는 종교화를 주제로 한 두 번째 개인전을 열었지만, 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
1923년 3월, 안나와 이혼했다. 7월에 그녀는 아이들을 데리고 파리로 이주했다. 이혼 직후 아이들의 얼굴을 보기 위해 메이헤런은 종종 그녀의 집을 방문했지만, 개인전 실패의 실의에서 그림 제작을 하지 않게 되었고, 수입도 줄어들면서 점차 아이들에게 생활비도 지급하지 못하게 되었다.
1928년, 판 메이헤런은 우르덴에서 배우 요한나 테레지아 외를레만스와 결혼했다.[14]
4. 위작의 시작
판 메이헤런은 초기에는 프란스 할스의 그림을 모방한 위작을 제작하여 미술계에 유통시켰다. 1928년까지 그의 그림이 거장들의 그림과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네덜란드 미술 평론가들로부터 그의 재능이 다른 예술가의 작품을 모방하는 것 외에는 제한적이라는 비난을 받았다.[7] 한 평론가는 그를 "르네상스파의 복합 복제를 만든 재능 있는 기술자이며, 독창성을 제외하면 모든 미덕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16]
이에 판 메이헤런은 1928년 4월부터 1930년 3월까지 언론인 얀 우빙크와 함께 월간 간행물 '데 켐파안'(De Kemphaan, "거친 사람")을 발행하여, 일련의 공격적인 기사로 대응했다.[17] 그는 이 간행물에서 현대 회화를 '예술 볼셰비즘'이라고 비난하고, 그 지지자들을 '여성 혐오와 흑인 애호가의 끈적끈적한 무리'라고 묘사했으며, 국제 미술 시장의 상징으로 '손수레를 든 유대인'의 이미지를 사용했다.[3][18]
5. 위작 기술의 완성
판 메이헤런은 페놀 포름알데히드 (베이클라이트)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린 후 경화시켜 300년 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는 물감을 라일락 오일과 섞어 열에 의한 변색을 막았고, 완성된 그림은 100°C에서 120°C로 구운 후 실린더 위로 굴려 크라클뤼르(craquelure, 회화 표면의 미세한 균열)를 만들었다. 그 후 검은 인도 잉크로 그림을 씻어 균열을 채웠다.[22][23]
그는 6년간의 연구 끝에 위작 기술을 완성했으며, ''음악을 읽는 여인''과 ''음악을 연주하는 여인''이라는 두 점의 시험작을 제작했다. 이 그림들은 암스테르담 국립 미술관의 ''푸른 옷을 입은 여인''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류트를 조율하는 여인''을 본뜬 것이었다.[24]
6. 최고의 위작, 엠마오의 만찬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이후, 판 메이헤런은 그의 위작 중 최고 걸작이자 가장 유명한 작품인 페르메르의 『엠마오의 만찬』을 완성했다.[19][20]
이 작품은 페르메르의 작품에서는 보기 드문 종교화였다. 판 메이헤런은 미술사학자 아브라함 브레디우스가 페르메르는 이탈리아 유학 시절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그렸을 것이라는 학설을 주장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에 판 메이헤런은 이탈리아 밀라노의 브레라 미술관에 있는 카라바조의 『엠마오의 만찬』을 모델로 하여 위작을 제작했다.[14]
판 메이헤런은 17세기 캔버스를 구하고, 청금석, 백연, 인디고, 주사 등의 원료를 고대 공식대로 혼합하여 물감을 만들었다.[21] 또한, 페놀 포름알데히드 (베이클라이트)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린 후 경화시켜 300년 된 것처럼 보이게 했다.
판 메이헤런은 친구인 변호사 C.A. 본을 통해 브레디우스에게 『엠마오의 식사』 감정을 의뢰했다. 1937년 9월 브레디우스는 미술 전문지 『더 벌링턴 매거진』에 감정 결과를 기고하여 페르메르의 진품이자 "걸작"이라고 평했다.[26][3] 이 위작은 화학 용액에 대한 색상 복원력, 연백 분석, X선 이미지 분석, 착색 물질 현미 분광법 등 당시 일반적인 과학 분석을 모두 통과했다.[27]
『엠마오의 식사』는 렘브란트 협회가 선주 빌렘 판 데르 폴름의 원조를 받아 52만 길더(오늘날 약 464만 유로)에 구입하여 로테르담의 보이만스 판 뵈닝겐 미술관에 기증했다.[28][27] 1938년 빌헬미나 여왕 즉위 기념 특별전에서 1400년부터 1800년까지의 네덜란드 거장 450점과 함께 전시되었고, 전시회 대표작으로 포스터에도 사용되었다. 독일 미술 평론가 아돌프 포일너는 "페르메르의 그림이 걸린 구석은 대성당 같은 고요함이 있었고, 방문객들에게 축복받은 기분을 느끼게 했다"고 평했다.
1938년, 판 메이헤런은 위작 매각 이익으로 프랑스 니스로 이주하여 12개 침실과 5개 리셉션 룸이 있는 호화 저택 "빌라 에스테이트"를 구입했다. 이 저택 벽에는 거장의 진품이 여러 점 걸려 있었다. 판 메이헤런은 니스에서 피터르 더 호흐의 작품으로 위작한 『카드 놀이하는 사람이 있는 실내』와 『술 마시는 사람이 있는 실내』, 그리고 페르메르의 작품으로 『최후의 만찬 I』을 제작했다.
7. 나치 점령 하의 위작 판매
1940년 5월, 네덜란드는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고 항복하여 나치에 의한 점령 통치가 시작되었다. 메이헤런은 점령 통치 하에서도 위작 제작을 계속하여, 베르메르의 작품으로 위조한 『그리스도 머리』, 『최후의 만찬 II』, 『야곱을 축복하는 이삭』, 『간음한 여인』, 그리고 속일 목적으로 그려진 마지막 위작인 『그리스도의 발을 씻기심』을 그렸다.
1942년, 메이헤런은 자신이 제작한 위작을 지역 화랑 운영자에게 맡겼다. 이를 나치의 은행가 겸 미술상인이 발견하고 『간음한 여인』을 구입했다. 이 무렵 메이헤런의 건강은 악화되어 담배, 과음, 모르핀 성분의 수면제 복용에 빠져 있었다. 이에 따라 작품의 질도 나빠져, 전문가가 보면 위작임을 간파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위작임이 발각되지는 않았고, 과학 감정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메이헤런이 그린 가짜 페르메이르 그림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Christ with the Adultress)》는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헤르만 괴링의 손에 들어갔다. 괴링은 이 그림과 자신이 약탈한 네덜란드 미술품 137점을 교환했다.[98]
8. 나치 협력 혐의 체포와 위작 시연
판 메이헤런은 자신이 위작을 만들게 된 동기는 돈 때문이 아니었고, 적어도 처음에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예술 비평가들을 경멸하여 그들을 골탕 먹이기 위해 페르메이르의 위작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비평가들이 위작인 줄 모르고 찬사를 보내면, 나중에 위작임을 밝혀 망신을 주려는 의도였다.
판 메이헤런은 페르메이르의 스타일과 기술을 따라 하고, 그림이 오래된 것처럼 보이도록 17세기 캔버스를 사용하고,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색을 희미하게 만들고, 불에 굽고 굴려서 균열을 만들고, 틈에 검은 잉크를 채워 넣는 등 꼼꼼하게 위작을 만들었다.
그는 자신이 만든 《엠마우스에서의 만찬 (The Supper at Emmaus)》이 꽤 잘 만들어진 위작이며, 예술적인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판 메이헤런은 이 그림을 페르메이르 전문가였던 아브라함 브레디위스 박사에게 보였고, 예상대로 그는 이 작품이 페르메이르의 진품이라고 감정했다. 네덜란드 예술 협회도 속아 넘어가 오늘날 수백만 달러에 해당하는 돈을 지불하고 그림을 사들였다. 판 메이헤런은 원래 목적과 달리 짭짤한 수익을 거두게 되자 돈벌이로 위작을 만들게 되었다.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여섯 개의 페르메이르 위작을 더 만들었으며, 프란스 할스와 피터르 더 호흐의 위작도 만들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 점령으로 사회가 어수선했기 때문에 아무도 판 메이헤런의 위작에 의심을 하지 않았다. 1942년에 그린 판 메이헤런의 위작은 160만 휠던에 팔렸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비싼 그림 가격이었다. 판 메이헤런이 그린 가짜 페르메이르 그림 《간음한 여인과 그리스도(Christ with the Adultress)》는 헤르만 괴링의 손에 들어갔고, 훗날 연합군에 의해 발견되어 판 메이헤런이 체포된 계기가 되었다.
판 메이헤런이 그림이 위작이라고 주장하자, 아무도 믿지 않았다. 경찰은 판 메이헤런이 직접 위작을 만들어 보여야 믿겠다고 했고, 판 메이헤런은 이에 응했다. 그는 3개월간 가택 연금되어 경찰의 감시하에 《신전에서 설교하는 젊은 예수(Young Jesus preaching in the Temple)》라는 마지막 위작을 만들었다. 이 사건은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메이헤런은 자신의 아틀리에에서 화구를 가져오게 하여 작업을 시작했다. 고가의 라피스 라줄리도 준비하게 했다. 게다가 일과였던 주니바 진과 모르핀을 자유롭게 복용할 허가도 받아 매일 4, 5시간 동안 기자와 전문가, 법원이 지명한 증인 앞에서 그림을 제작했다. 소재는 실패로 끝난 제2회 개인전에서 그렸던 『성전에서 가르침을 주는 어린 그리스도』로 했다. 이 작품은 1945년 7월부터 12월에 걸쳐 그려졌고, 생애 마지막 위작이 되었다.[99]
재판은 1947년 8월 29일에 열렸다. 판 메이헤런은 위조범으로 유죄 판결을 받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예술 전문가들은 위작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위원회가 꾸려졌다. 조사 결과, 페르메이르가 살던 17세기에는 쓰이지 않았던 코발트블루가 위작에서 발견되었고, 이것으로 판 메이헤런의 그림은 모두 위작임이 증명되었다. 판 메이헤런은 나치에게 국보급 미술품을 팔아넘긴 매국노가 아니라, 나치까지 속여넘긴 사기꾼이 된 셈이었다. 그는 미술품 위조 혐의로 2년형을 선고받았으나, 건강 상태가 안 좋아서 감옥 대신 요양원으로 보내졌고 1947년 12월 29일에 사망했다.
9. 재판과 판결
헤르만 괴링에게 판매된 페르메이르의 그림이 위조품으로 판명되면서, 네덜란드 문화재를 나치에 팔았다는 협력 혐의는 기각되었다. 검사 H. A. 바센베르크는 위조 및 사기 혐의로 2년 징역형을 구형했다.[22]
법원은 판 메이헤런 그림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국제 전문가 그룹을 위촉했다. 벨기에 왕립 미술관 화학 연구소 소장인 폴 B. 코레만스가 이끄는 위원회는 네덜란드, 벨기에, 영국의 큐레이터, 교수, 의사들로 구성되었다.[22][41][42] 위원회는 판 메이헤런이 위조품으로 인정한 8점의 페르메이르와 프란스 할스 그림을 조사했다.
코레만스 박사는 물감에서 20세기에 발견된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인 베이클라이트와 알버톨이 물감 경화제로 사용된 것을 발견했다.[22][44] 이는 그림이 진품이 아니라는 증거였다. 또한, 위원회는 크라클뢰르(갈라짐)의 먼지가 균일하고, 먹물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등 부자연스럽다는 점을 지적했다. 물감은 알코올, 강산, 염기에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단단했고, 표면과 지층의 크라클뢰르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메이헤런이 인위적으로 크라클뢰르를 만들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1967년과 1977년까지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을 계속했다.
1947년 11월 12일, 암스테르담 지방 법원 제4심은 한 판 메이헤런에게 위조 및 사기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고 1년의 징역형을 선고했다.[46][22] 재판은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었고, 판 메이헤런은 대중의 영웅으로 떠올랐다.[47]
메이헤런은 수사 과정에 협조적이었고, 자신의 범행을 자백하여 보석으로 풀려났다. 그는 감옥에서 나와 자신의 저택으로 돌아갔지만, 가슴 통증을 느끼면서도 매일 밤 술집에 나가는 등 눈에 띄는 행동을 계속했다.
처음에는 국보를 적국에 팔아넘긴 매국노로 비난받았지만, 위작으로 밝혀지자 나치를 속이고 네덜란드의 국보를 되찾은 국민적 영웅으로 평가가 바뀌었다. 1946년 여론 조사에서는 네덜란드 총리에 이어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10. 죽음과 그 후
사후 법원은 그의 유산을 경매에 부쳐 위작 구매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고, 미납된 소득세를 납부하도록 했다. 그는 1945년 12월에 파산을 신청했다. 1950년 9월, 암스테르담 집의 내용물과 개인 소장품을 포함한 738개의 가구 및 예술 작품이 경매에 부쳐졌다. 그의 서명이 없는 '최후의 만찬 I'은 2,300 길더, '의사들 사이의 예수'(구금 중에 그린 그림)는 3000길더(약 800USD, 현재 가치로 약 7000USD)에 팔렸다. 전체 유산 판매액은 242000길더[53](약 60000USD, 현재 가치로 약 500000USD)였다.
그의 두 번째 부인 조는 위조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고, 그녀의 연루는 증명되지 않아 상당한 자본을 유지할 수 있었다.
메이헤런 사후에도 그의 위작, 특히 『엠마오의 식사』와 『최후의 만찬 II』 등은 오랫동안 진위 논쟁에 휘말렸다.
11. 진위 논쟁
《최후의 만찬 II》, 《술꾼이 있는 실내》, 《그리스도의 머리》의 구매자인 다니엘 조지 판 베우닝겐은 파울 코레만스 박사에게 자신의 분석이 틀렸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 코레만스가 이를 거절하자, 판 베우닝겐은 코레만스가 《최후의 만찬 II》를 위작으로 잘못 낙인찍어 자신의 "페르메이르" 그림 가치를 떨어뜨렸다며 소송을 제기하고 50만 파운드(약 130만 달러, 현재 약 1000만달러)의 보상을 요구했다.
브뤼셀에서 열린 첫 번째 재판에서 법원은 메이헤런 재판과 동일한 판결 논리를 채택하여 코레만스의 손을 들어주었다. 1955년 5월 29일 판 베우닝겐이 사망하면서 두 번째 재판은 연기되었다.
1958년 법원은 판 베우닝겐의 상속인을 대리하여 사건을 심리했다. 코레만스는 아브라함 혼디우스의 그림 《사냥 장면》 사진을 증거로 제시했는데, 이는 위조된 페르메이르의 《최후의 만찬》 표면 아래 X선으로 보이는 장면과 정확히 일치했다. 또한 코레만스는 증인을 통해 판 메이헤런이 1940년에 《사냥 장면》을 구매했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57] 법원은 코레만스의 주장을 인정했고, 그의 위원회 조사 결과는 유지되었다.[58]
하지만 메이헤런이 나치 협력자 혐의를 피하기 위해 진품을 위작이라고 속였다고 주장하는 의견은 197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12. 과학적 조사
이러한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벨기에의 미술사학자 장 데쿤 등은 위작이 아니라는 주장을 제기했다.[55][56] 진위 논쟁은 197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1967년,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예술가 재료 센터는 백납의 납 동위원소 분석(방사성 붕괴 측정법)을 통해 위작임을 재확인했다. 17세기 네덜란드 백납은 은과 안티몬 함량이 높았지만, 메이헤런이 사용한 현대 백납에는 없었다.[59][60] Pb-210 (납의 방사성 동위원소) 측정 결과, 17세기 네덜란드 그림의 폴로늄-210 값은 0.23±0.27, 라듐-226 값은 0.40±0.47이었던 반면, 《엠마우스에서의 만찬》의 백납은 폴로늄-210 값이 8.5±1.4, 라듐-226 값은 0.8±0.3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64]
1977년, 네덜란드 국립 법의학 연구소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등을 통해 위작임을 최종 확인했다. 1946년 위원회의 결론은 네덜란드 사법 시스템에 의해 다시 확정되었다.[65]
13. 위작 목록
화가 작품명 제작 연도 비고 프란스 할스 웃는 기사 모작 1923년 1923년 헤이그에서 스캔들의 대상이 되었으며, 현재 행방은 알려져 있지 않다. 프란스 할스 행복한 흡연가 1923년 네덜란드 흐로닝거 미술관에 소장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스피넷을 연주하는 남자와 여자 1932년 암스테르담 은행가 프리츠 만하이머 박사에게 판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편지를 읽는 여인 1935년–1936년 미판매, 국립미술관에 전시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류트를 연주하며 창밖을 내다보는 여인 1935년–1936년 미판매, 국립미술관에 전시 테르 보르흐 남자의 초상 1935년–1936년 미판매, 국립미술관에 전시 프란스 할스 술 마시는 여인 1935년–1936년 미판매, 국립미술관에 전시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엠마오의 만찬 1936년–1937년 보이만스 미술관에 520,000–550,000 길더(현재 약 4백만 유로)에 판매 피터르 더 호흐 술꾼이 있는 실내 1937년–1938년 D. G. 판 베우닝겐에게 219,000–220,000 길더(현재 약 160만 달러)에 판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최후의 만찬 I 1938년–1939년 피터르 더 호흐 카드놀이하는 사람이 있는 실내 1938년–1939년 W. 판 데르 포름에게 219,000–220,000 길더(현재 약 160만 달러)에 판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그리스도의 머리 1940년–1941년 D. G. 판 베우닝겐에게 400,000–475,000 길더(현재 약 325만 달러)에 판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최후의 만찬 II 1940년–1942년 D. G. 판 베우닝겐에게 1,600,000 길더(현재 약 7백만 달러)에 판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야곱의 축복 1941년–1942년 W. 판 데르 포름에게 1,270,000 길더(현재 약 575만 달러)에 판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간음한 여인과 함께 있는 그리스도 1941년–1942년 헤르만 괴링에게 1,650,000 길더(현재 약 675만 달러)에 판매, 현재 데 푼다티 미술관 공공 컬렉션에 소장[80]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발을 씻는 예수 1941년–1943년 네덜란드 정부에 1,250,000–1,300,000 길더(현재 약 530만 달러)에 판매, 국립미술관에 전시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의사들 가운데 있는 예수 1945년 9월 재판 중 법원의 통제하에 그려졌으며, 경매에서 3,000 길더(현재 약 7,000 달러)에 판매 디르크 판 바뷰렌 The Procuress - 1960년에 가짜로 코톨드 미술관에 기증되었으며, 2011년 화학 분석을 통해 확인
자크 반 메이헤런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85] 그의 아버지와 나눈 대화와 관련하여 그의 아버지가 여러 위작을 만들었다고 제안했다.[86]
가능성이 있는 위작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4. 메이헤런 자신의 작품
판 메이헤런은 다양한 스타일로 수천 점의 오리지널 그림을 제작한 다작 화가였다. 그의 작품은 17세기 스타일의 고전 정물화, 호수나 해변에서 즐겁게 노는 사람들을 그린 인상주의 그림, 다소 기이한 특징을 가진 대상을 묘사한 유쾌한 드로잉, 전경과 배경을 결합한 초현실주의 그림 등 다양했다. 하지만 그의 가장 훌륭한 작품은 초상화로 여겨진다.[4][86]
그의 오리지널 작품 중에는 유명한 ''사슴''이 있다. 이 외에도 그의 수상작인 ''성 라우렌스 대성당'';[89] 그의 두 번째 부인 ''여배우 조 외를레만스''[90]의 초상; 1920년대의 ''나이트 클럽'';[91] 밝은 수채화 ''해변의 여름날''[92] 등이 있다.
메이헤런은 신혼 초 돈이 없어 레이스웨이크에 있는 아내의 할머니 집 2층에 세 들어 살았다. 그는 신문 삽화 같은 상업 미술 일을 하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의 정교한 스케치는 상업 미술에 적합하지 않아 결혼 초에는 그림으로 수입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1913년 1월, 5년에 한 번 열리는 학교 내 회화 콩쿠르에서 전통적인 수채화로 성 라우렌스 교회 내부를 그린 그림으로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어 금메달을 받았다. 원래 우수한 미대생에게 주어지는 상이었기에 정규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메이헤런의 수상은 이례적이었다. 상금은 없었지만 이 그림은 1000길더에 팔렸고, 이 수상을 계기로 소액의 초상화 의뢰도 들어오게 되었다.
메이헤런은 이 성공에 고무되어 아버지와 아내의 반대를 무릅쓰고 건축가를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려 생계를 꾸리기로 결심했다. 그는 졸업 시험을 치르지 않고 1913년에 헤이그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했다.
1921년, 메이헤런은 학생들과 왕립 동물원에서 스케치 학습을 했다. 그때 한 여학생의 도전을 받아 10분도 안 되어 아기 사슴 스케치를 그렸다. 그는 이 그림을 시내 인쇄소에 판매했는데, 율리아나 여왕이 키우는 사슴이라는 소문이 나면서 엽서 등에 사용되어 네덜란드 국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15. 영화
가이 피어스가 한 판 메이헤런 역을 맡은 영화 ''라스트 버미어''는 그가 나치 장교 헤르만 괴링에게 "예수와 간음한 여인"을 판매한 사건에 대한 조사를 다루고 있다.[93][94] 이 영화는 조나단 로페즈의 책 ''명장 위조범 한 판 메이헤런의 전설을 벗기다(The Man Who Made Vermeers, Unvarnishing the Legend of Master Forger Han Van Meegeren)''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95]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esthe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23
[2]
웹사이트
Han van Meegeren
https://rkd.nl/explo[...]
2018-10-09
[3]
잡지
Dutch Master
http://www.newyorker[...]
2009-07-20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서적
Encyclopedia of Hoaxes
https://archive.org/[...]
Gale Research
[9]
harvnb
[10]
문서
Tentoonstelling van schilderijen, acquarellen, en teekeningen door H. A. van Meegeren
Kunstzaal Pictura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뉴스
The forger who fooled the world
https://www.telegrap[...]
2012-06-15
[17]
문서
De Kemphaan
1928-04-1930-03
[18]
뉴스
The Last Vermeer: how one man's counterfeits duped the art world
https://www.thetimes[...]
2021-02-20
[19]
harvnb
[20]
harvnb
[21]
harvnb
[22]
서적
The Forensic Historian: Using Science to Reexamine the Past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5-08-27
[23]
harvnb
[24]
웹사이트
Rijksmuseum Amsterdam - Nationaal Museum voor Kunst en Geschiedenis
https://web.archive.[...]
Rijksmuseum.nl
[25]
잡지
An Unpublished Vermeer
https://web.archive.[...]
2024-03-16
[26]
잡지
A New Vermeer
https://www.jstor.or[...]
2024-02-23
[27]
서적
Vermeer
Gemeinshaftsausgabe Kunstkreis Luzern Buchclub Ex Libris Zürich
[28]
harvnb
[29]
harvnb
[30]
서적
Coping With Tourists: European Reactions to Mass Tourism
Berghahn Books
[31]
harvnb
[32]
harvnb
[33]
뉴스
How Mediocre Dutch Artist Cast 'The Forger's Spell'
https://www.npr.org/[...]
2018-04-03
[34]
뉴스
Bamboozling Ourselves (Part 4)
https://archive.nyti[...]
2022-11-10
[35]
harvnb
[36]
논문
[37]
논문
[38]
웹사이트
Jesus Among the Doctors
http://www.tnunn.ndo[...]
[39]
웹사이트
Van Meegeren's Fake Vermeer's
http://www.essential[...]
Essential Vermeer
2012-07-08
[40]
논문
[41]
서적
Van Meegeren's faked Vermeers and De Hooghs: a scientific examination
J. M. Meulenhoff
[42]
논문
[43]
논문
[44]
문서
Cahiers uit het Noorden
Zoetermeer
[45]
간행물
Methods to determine identity and authenticity
[46]
뉴스
Art: Truth & Consequences
http://www.time.com/[...]
1947-11-24
[47]
논문
[48]
서적
The Man Who Swindled Goering
Simon & Schuster
[49]
논문
[50]
웹사이트
Zoeken
https://www.rijksmus[...]
2022-02-27
[51]
웹사이트
Janet Wasserman – Han van Meegeren and his portraits of Theo van der Pas and Jopie Breemer (3)
http://robscholtemus[...]
2015-09-02
[52]
웹사이트
Dood in Nederland
http://www.dodenakke[...]
2007-05-25
[53]
뉴스
Art: Not for Money
http://www.time.com/[...]
1950-09-18
[54]
웹사이트
Authentication in Art List of Unmasked Forgers
http://authenticatio[...]
2017-12-21
[55]
서적
Retour à la véritè, Vermeer-Van Meegeren: Deux Authentiques Vermeer
Editions Ad. Donker
[56]
논문
[57]
서적
Vermeer
Gemeinshaftsausgabe Kunstkreis Luzern Buchclub Ex Libris Zürich
[58]
논문
[59]
논문
Analysis of investigations of pigments from paintings of south German painter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Technical University Munich
1968
[60]
전시회
Falsification and Research
[61]
학술지
Dating Works of Art through Their Natural Radioactivity: Improvements and Applications
[62]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Pb-210 Method
http://www.flettrese[...]
2003-10-08
[63]
간행물
A new study into the identity of the [portfolio] of Van Meegeren
[64]
학술지
Dating and Authenticating Works of Art by Measurement of Natural Alpha Emitters
[65]
문서
Nieuw onderzoek naar het bindmiddel van Van Meegeren
[66]
방송
Rembrandt
http://www.bbc.co.uk[...]
2011-08-04
[67]
논문
[68]
뉴스
Art: The Price of Forgery
http://www.time.com/[...]
1946-11-18
[69]
논문
[70]
논문
[71]
harvard
[72]
서적
Early Vermeer 1937. Contexts of life and work of the painter/falsifier Han van Meegeren
The Spectrum
[73]
서적
Photographs of the paintings of Han van Meegeren
Publishing House L. J. C. Boucher
[74]
서적
A dictionary of the avant-gardes
Routledge
[75]
서적
Vermeer
Gemeinshaftsausgabe Kunstkreis Luzern Buchclub Ex Libris Zürich
[76]
웹사이트
Brieflezende vrouw
http://www.geheugenv[...]
2013-12-29
[77]
웹사이트
Cisterspelende vrouw
http://www.geheugenv[...]
2013-12-29
[78]
웹사이트
Portret van een man
http://www.geheugenv[...]
2013-12-29
[79]
웹사이트
Malle Babbe
http://www.geheugenv[...]
2021-11-05
[80]
웹사이트
Looking for Vermeer
https://www.museumde[...]
2024-02-23
[81]
웹사이트
De voetwassing
http://www.geheugenv[...]
2013-12-29
[82]
간행물
"Genuinely wrong"
Fondation Cartier
[83]
간행물
"Wrong or genuine?"
Basel Art Museum
[84]
간행물
"Exhibition catalog Rotterdam"
The Hague
[85]
harvard
[86]
서적
Han van Meegeren, Meestervervalser
[87]
서적
Frans Hals
Lekturama Rotterdam
[88]
서적
John Ringling and the Greta Garbo Vermeer
[89]
웹사이트
St. Laurens Cathedral image
https://web.archive.[...]
2012-05-05
[90]
웹사이트
Portrait of the actress Jo Oerlemans image
https://web.archive.[...]
2012-05-05
[91]
웹사이트
Night Club
https://web.archive.[...]
2012-05-05
[92]
웹사이트
maak 992 breed Strand
https://web.archive.[...]
[93]
뉴스
Guy Pearce Stars & Imperative's Dan Friedkin Directs 'Lyrebird', About Art Forger Whose Paintings Duped Nazis
https://deadline.com[...]
2018-04-25
[94]
뉴스
'The Last Vermeer' Review: A Lost Masterpiece Is Only the Beginning
https://www.nytimes.[...]
2020-11-19
[95]
harvard
[96]
웹사이트
Han van Meegeren
https://rkd.nl/explo[...]
2018-10-09
[97]
서적
Vermeer
Gemeinshaftsausgabe Kunstkreis Luzern Buchclub Ex Libris Zürich
[98]
뉴스
How Mediocre Dutch Artist Cast 'The Forger's Spell'
https://www.npr.org/[...]
2008-07-12
[99]
뉴스
Bamboozling Ourselves (Part 4)
https://archive.nyti[...]
2009-06-01
[100]
잡지
Dutch Master
http://www.newyorker[...]
2008-10-27
[101]
뉴스
The forger who fooled the world
https://www.telegrap[...]
2006-05-08
[102]
웹사이트
Zoeken
https://www.rijksmus[...]
2022-02-27
[103]
웹사이트
Janet Wasserman – Han van Meegeren and his portraits of Theo van der Pas and Jopie Breemer (3)
http://robscholtemus[...]
2015-09-02
[104]
웹사이트
Dood in Nederland
https://web.archive.[...]
2007-05-25
[105]
서적
Vermeer
Gemeinshaftsausgabe Kunstkreis Luzern Buchclub Ex Libris Zürich
[106]
간행물
Nieuw onderzoek naar het bindmiddel van Van Meegeren (New investigations in the chemicals of Han van Meegeren)
Chemisch Weekblad
1977-11-00
[107]
서적
"Genuinely wrong"
Fondation Cartier
1991
[108]
서적
"Wrong or genuine?"
Basel Art Museum
1953
[109]
서적
"Exhibition catalog Rotterdam"
The Hague
1996
[110]
harvnb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여 type을 harvnb로 지정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더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Schueller (1953)
[111]
서적
Han van Meegeren, Meestervervalser
2004
[112]
웹사이트
St. Laurens Cathedral image
http://www.meegeren.[...]
2012-05-05
[113]
웹사이트
Portrait of the actress Jo Oerlemans image
http://www.meegeren.[...]
2012-05-05
[114]
웹사이트
Night Club
http://www.meegeren.[...]
2012-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